반응형
소비란 / 손희정
재화와 서비스로 나뉨.
사회운동트렌드의 변화.
■소비>>인권>>환경
벨이 전화기를 상용화 하는데 100년 걸림, 스마트폰은 10년 , Sns5년 등 기술 발달 속도가 빠름.
■문화가 바뀌면서
소비자는 심리적으로 비합리적 선택을 함 .
■소비를 위한 필수품. (돈)
교환, 지급수단, 가치비교 가능, 저장과 이전
■돈으로 모든것이 가능한 사회
줄서기, 사람대행, 대리출산, 사냥권, 해양심층수
■ 공공재 게임


환경은 공공재이며 협력만이 생존의 조건
무임승차자가 큰 이익을 보고 협력하지 않는자가 가장 작은 이익을 본다.
기기부문화가 발달된 나라는 문제 해결이 빠름.
공공을 위해 돈을 아무도 내지 않더라도 개인이 손해 보는 일은 없다
개인의 이익은 공동체의 손해로 이어질수 있다
환경공공재는 개인의 선택으로 만들어지지 않지만 개인의 행동이 지켜줄 수 있다.

■ 소비의 과정
Need. >> 소비자의사결정>> 구매 >>사용>>처분>>change >>사회변화 주도
■ 녹색소비는
구매 (잘사고 ) >>사용 (고쳐서 오래 쓰고 )>>처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