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세플라스틱 위험과 해결

by 감사로운 2025. 7. 28.
반응형

 

 

미세플라스틱의 문제점과 해결책

이야기 순서

  1.  미세플라스틱이란?
  2.  미세플라스틱의 문제점
  3.  플라스틱 사용 현황과 문제의 심각성
  4.  해결책과 대응 방안
  5.  결론

 

1. 미세플라스틱이란?

1.1 정의와 발견

  • 1972년: 카페더와 스미스가 바닷가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최초로 보고
  • 2004년: 톰슨이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을 '미세플라스틱'으로 명명
  • 2015년: GESAMP에서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을 공식적으로 미세플라스틱으로 정의

1.2 분류

분류 정의 예시
1차 미세플라스틱 특정 목적을 위해 인위적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화장품, 치약의 마이크로비즈 등
2차 미세플라스틱 큰 플라스틱 물체가 자연적 풍화나 광분해로 파쇄되어 발생 섬유, 타이어 분진, 대형 플라스틱 파쇄물 등

1.3 형태와 특성

  • 형태: 조각형, 스티로폼형, 필름형, 선형, 펠렛형
  • 특성:
    • 고체상 물질
    • 물에 잘 녹지 않음
    • 인공적으로 합성됨
    • 분해가 매우 늦음
    • 미세한 크기

2. 미세플라스틱의 문제점

2.1 생태계 오염 현황

  • 해양 오염: 전 세계 해양에 광범위하게 분포
  • 북극/남극: 극지방에서도 미세플라스틱 검출
  • 심해 오염: 마리아나 해구(11km 깊이)에서도 발견
  • 해안 쓰레기: 국내 40개 해안에서 수거된 쓰레기의 57%가 플라스틱류

2.2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

  • 수생생물: 제브라피시, 물벼룩 등의 체내 축적
  • 미토콘드리아 손상: 세포 내 에너지 생산 기관 손상
  • 생식기관 침투: 물벼룩의 생식기관, 알주머니까지 침투

2.3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태반 전이: 임신 여성의 태반에서 미세플라스틱 검출
  • 세대간 전이: 어미에서 새끼로의 전이 확인
  • 유아 노출: 생후 1년 이내 유아의 대변에서 성인 대비 13.8배 높은 수치

2.4 화학물질 전이

  • 첨가제: 비스페놀A, 프탈레이트, PBD 등 내분비 교란 물질
  • 환경오염물질: POPs, PAH, PCB, DDT 등이 미세플라스틱에 흡착
  • 복합 독성: 플라스틱 자체와 흡착된 화학물질의 복합적 독성

2.5 초미세플라스틱 생성

  • 2차 미세플라스틱이 더욱 작은 나노 사이즈로 분해
  • 환경 중 장기간 잔존

3. 플라스틱 사용 현황과 문제의 심각성

3.1 생산량과 사용량

  • 전 세계 생산량: 1950년~2015년 누적 83억 톤
  • 재활용률: 전체 중 9%만 재활용
  • 국가별 사용량:
    • 1위: 벨기에 (177.1kg/인)
    • 2위: 대만
    • 3위: 한국 (145.9kg/인)

3.2 폐기물 발생량

  • 국내 발생량: 2008년 475만 톤 → 2017년 791만 톤 (1.76배 증가)
  • 처리 현황: 매립, 소각, 재활용, 환경 잔존

3.3 분해 시간

플라스틱 종류 분해 시간
비닐봉지 약 20년
일회용 플라스틱 컵 약 30년
PET병 약 450년
바다어망 약 600년

4. 해결책과 대응 방안

4.1 국제적 대응

  • UN 결의문: 미세플라스틱 오염 방지 결의문 채택
  • EU 규제: 국가별 미세플라스틱 모니터링 의무화
  • G20: 해양 쓰레기 실행 계획 수립
  • 바젤협약: 플라스틱 폐기물 수출입 규제

4.2 기술적 해결책

4.2.1 생분해성 플라스틱 개발

  • 원료: 옥수수, 전분 등 생물자원 활용
  • 분해 조건: 58±2°C, 함수율 50% 이상, 산소농도 6%
  • 분해 기준: 180일 이내 90% 이상 또는 45일 이내 60% 이상 분해

4.2.2 생물학적 분해 기술

  • 효소 활용: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 효소
  • 미생물 활용: 녹색 미조류, 박테리아, 곰팡이
  • 국가별 연구:
    • 영국: 유전자 변형 대장균으로 PET 분해
    • 독일: 폴리우레탄 분해 박테리아
    • 프랑스: PET 분해 효소 상업화
    • 일본: 플라스틱 분해 효소 개발

4.3 정책적 대응

  • 1차 미세플라스틱: 마이크로비즈 생산 금지
  • 2차 미세플라스틱: 재활용 강화, 수거 체계 개선
  • 환경 관리: 적정 처리 시스템 구축

4.4 개인적 실천 방안

  • 사용량 감소: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최소화
  • 재활용: 올바른 분리배출
  • 대안 사용: 친환경 소재 제품 선택

5. 결론

미세플라스틱은 전 지구적 환경 문제로, 모든 국가와 개인이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5.1 핵심 요약

  • 기술적 해결책과 정책적 대응, 개인적 실천이 모두 필요
  • 지속적인 연구와 관리가 요구됨
  • 전 세계적 협력을 통한 해결 방안 모색 필요

5.2 향후 과제

  1.  기술 개발: 생분해성 플라스틱 상용화
  2.  정책 강화: 국제적 규제 체계 구축
  3.  의식 개선: 개인과 기업의 환경 책임 의식 향상
  4.  협력 강화: 국가간 정보 공유 및 기술 협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