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

녹색소비 소비란 / 손희정재화와 서비스로 나뉨.사회운동트렌드의 변화.■소비>>인권>>환경벨이 전화기를 상용화 하는데 100년 걸림, 스마트폰은 10년 , Sns5년 등 기술 발달 속도가 빠름. ■문화가 바뀌면서 소비자는 심리적으로 비합리적 선택을 함 . ■소비를 위한 필수품. (돈)교환, 지급수단, 가치비교 가능, 저장과 이전 ■돈으로 모든것이 가능한 사회줄서기, 사람대행, 대리출산, 사냥권, 해양심층수 ■ 공공재 게임 환경은 공공재이며 협력만이 생존의 조건무임승차자가 큰 이익을 보고 협력하지 않는자가 가장 작은 이익을 본다. 기기부문화가 발달된 나라는 문제 해결이 빠름.공공을 위해 돈을 아무도 내지 않더라도 개인이 손해 보는 일은 없다개인의 이익은 공동체의 손해로 이어질수 있다환경공공재는 개인의 선택으.. 2025. 10. 16.
<동기행 책 나들이 > 회복력 시대 육식의 종말, 노동의 종말, 엔트로피, 3차산업혁명 등 다수의 책을 출판한 저자이다.극단적인 종말보다 희망적인 메시지를 우리에게 던졌다.지금까지 출간했던 책들의 종합장 같은 느낌이다. - 책의 목차 -1부 효율성 대 엔트로피: 현대성의 변증법1. 마스크, 인공호흡기, 화장지: 적응성이 효율성보다 중요한 이유 212. 테일러주의와 열역학법칙 343. 현실 세계: 자연의 자본 592부 지구의 자산화와 노동력의 빈곤화4. 대혼란: 지구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클로저 795. 궁극의 약탈: 지구의 권력, 유전자풀, 전자기 스펙트럼의 상품화 956. 자본주의의 딜레마: 효율성의 증가, 노동자의 감소, 소비자 부채의 증가 1353부 우리가 어떻게 여기에: 지구의 진화에 대한 재고7. 생태적 자아: 우리는 저마다.. 2025. 8. 18.
미세플라스틱 위험과 해결 element. -->미세플라스틱의 문제점과 해결책이야기 순서 미세플라스틱이란? 미세플라스틱의 문제점 플라스틱 사용 현황과 문제의 심각성 해결책과 대응 방안 결론 1. 미세플라스틱이란?1.1 정의와 발견1972년: 카페더와 스미스가 바닷가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최초로 보고2004년: 톰슨이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을 '미세플라스틱'으로 명명2015년: GESAMP에서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을 공식적으로 미세플라스틱으로 정의1.2 분류분류정의예시1차 미세플라스틱특정 목적을 위해 인위적으로 제조된 플라스틱화장품, 치약의 마이크로비즈 등2차 미세플라스틱큰 플라스틱 물체가 자연적 풍화나 광분해로 파쇄되어 발생섬유, 타이어 분진, 대형 플라스틱 파쇄물 등1.3 형태와 특성형태: 조각형, 스티로폼형, 필.. 2025. 7. 28.
<동기행 책 나들이> 뜨거운 지구 뜨겁게 말하자 "뜨거운 지구 뜨겁게 말하자"는 기후 위기에 대한 심각성을 강조하며, 개인의 행동보다 사회 구조적 변화의 필요성을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이 책은 기후 문제에 대한 시민 단체 활동가의 깊이 있는 통찰을 담아, 우리가 어떻게 기후 시민으로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2025. 7. 14.